최종편집:2025-05-14 오후 07:16:06
TRENDING NOW
기고
  최종편집 : 2025-05-14 오후 07:16:06
출력 :
[독자기고] 다시 피어나는 희망, 영덕의 내일을 위하여
2025년 3월, 영덕을 덮친 대형 산불은 순식간에 수많은 이들의 삶터와 생업을 무너뜨렸습니다. 아름드리 숲과 오래된 마을길, 정겨운 이웃과 나누던 수많은 추억의 공간들이 하루아침에 잿더미로 변했습니다. 누구도 예상하지 못한 재난 앞에서 우리는 깊은 상실감과 충격을 겪었지만, 그 속에서도 꺼지지 않는 희망의 불씨를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고향신문 기자 : 2025년 05월 07일
[아침을 여는 초대시] <시조> 으름덩굴 꽃
새소리 / 이끌림에 오르던 산기슭에 산이슬 / 햇살 먹고 눈 맞춤 으름 꽃이
고향신문 기자 : 2025년 05월 02일
[기자수첩] 절망적 재난 상황 속 리더는?
경상북도 5개 시군이 최근 발생한 대형 산불로 인해 대규모 재산 피해와 인명피해를 입으며 주민들은 삶의 터전을 잃고 깊은 상처 속에서 하루하루를 버티고 있다.
고향신문 기자 : 2025년 04월 25일
[아침을 여는 초대시] 귀촌歸村
고향 그리워 귀촌했더니 그리든 고향 아니다
고향신문 기자 : 2025년 04월 25일
[기고] 산불 수습 이후 영덕군 새 미래 청사진 준비 당부
필자는 최근 발생한 산불과 관련해 수습 이후로 예견될 군민들의 어려운 살림살이 걱정을 대비할 군 행정 차원의 새 미래 청사진을 서둘러 준비해 달라고 당부한다.
고향신문 기자 : 2025년 04월 25일
[아침을 여는 초대시] 사월
번지는 사월은 소리 타래 깨어나는 순서로 숨 트는 소리를 듣자
고향신문 기자 : 2025년 04월 18일
[기고] 서울대 법대와 고대 축구부의 4.19는 어디에
65년 전 오늘, 민주주의를 더럽힌 독재자 이승만을 끌어내리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거리로 나섰고 결국 추악한 권력자를 하야시키는 혁명을 완성시켰다.
고향신문 기자 : 2025년 04월 18일
[아침을 여는 초대시] 내 친구
내 이름 잊지 않고 불러주는 친구가 그립다 유년 시절 하늘 맑은 숲속 정원에서 물레방아 도는 연못가를 함께 걷던 소중한 소꿉친구 그 친구 생각난다
고향신문 기자 : 2025년 04월 11일
<특별 기고>침몰의 그림자
산등성이를 거세게 뛰어넘는 바람이 불었다 날카로운 발톱을 숨기고 다가온 열기 발톱에 찢기고 거칠게 핥킨 시간의 공간 거침없이 휘몰아치는 도깨비 불씨로 기억되는 몹쓸 놈 같은 화마火魔가 남긴 아픈 흔적들
고향신문 기자 : 2025년 04월 04일
[아침을 여는 초대시] 산 꽃
산에서 피는 꽃 산 꽃 가냘프고 소담스런 모습 자꾸 시선이 머문다
고향신문 기자 : 2025년 04월 04일
[기자수첩] 모두의 따뜻한 마음과 연대로 재앙의 상처를 치유하자
의성에서 시작된 산불이 상상을 초월하는 태풍급 돌풍을 타고 순식간에 영덕까지 덮쳤다. 마치 재난 영화의 한 장면처럼, 맹렬한 화마는 사랑하는 사람과 소중한 삶의 터전을 순식간에 삼켜버렸다.
고향신문 기자 : 2025년 04월 04일
[아침을 여는 초대시] 춘삼월春三月
언덕배기 황소울음 봄꽃 사이로 아지랑이 지나고 버들개지 휘파람에 진분홍 엽서 날아든다
고향신문 기자 : 2025년 03월 28일
<특별 기고>1919년 독립만세 운동(Ⅶ)
위측 사진의 내용은 1919년 3월 영덕읍교회 연혁지에 기록 된 것으로 당시 싱힝을 살펴보면 영덕읍 지역의 3,1 독립 만세운동은 기독교 청년들과 당시 조사인 김세영 권태원으로 부터 전갈을 받고 김우일 목사 강우근 장로는 권찬영 선교사의 조언으로 계획을 본 교회에서 세웠다.
고향신문 기자 : 2025년 03월 28일
[아침을 여는 초대시] 감기
시도 때도 없이 누구에게나 찾아드는 불청객이다
고향신문 기자 : 2025년 03월 21일
<특별 기고> 1919년 독립만세 운동 100주년(Ⅴ)
영덕읍교회 1층 아동부실 앞 좌측에 1919년에 일어난 3·1운동 100주년 기념 동판이 있다. 영덕읍교회는 1908년 12월 8일 창립하여 117년의 긴 역사를 이어왔다.
고향신문 기자 : 2025년 03월 21일
[기자수첩] 제28회 영덕대게축제 斷想
궂은 날씨마저 축제의 열기를 꺾지 못했던 것은, 아마도 영덕대게가 가진 특별한 매력과 잘 짜인 한 편의 드라마처럼, 이번 축제는 다채로운 체험과 풍성한 먹거리, 그리고 추진위원회의 헌신적인 노력이 이루어낸 결과가 아닐까!
박문희 기자 : 2025년 03월 21일
[아침을 여는 초대시] 봄눈
새하얀 눈이 내린다/ 봄눈이 내린다 혹한의 긴 겨울 / 어디쯤에 숨었다가 /봄 오는 길목/ 순백의 깃털로 내리는가
고향신문 기자 : 2025년 03월 14일
<특별 기고> 1919년 독립만세 운동(Ⅵ)
전회(Ⅲ)에서 밝힌 바와 같이, 영덕군내의 3·18의거는 3월 18일을 기하여 영해 병곡 창수, 19일에는 지품 원전, 21일은 지품 신안에서 일어났다. 4월 4일에는 남정면 장사리에서 만세를 부르다가 경찰에 주동자가 체포되는 등 군민이 거군(郡)적으로 참여한 대규모의 비폭력 대규모의 운동이므로 수천년 동안 내려온 우리지역의 굳센 기상을 아낌없이 보여준
고향신문 기자 : 2025년 03월 14일
【김동원의 해설이 있는 詩-29】 시
계간 『문장』 여름호 당선작(2023, 북랜드) 이현동의 「시」는 사투리의 묘미를 통해, ‘시가 무엇가?’란 질문을 해학적으로 표현하였다. 한국문학에서 특히, 사투리를 활용한 시는 현대에 와서도 여전히 독자들의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그것은 타향살이에서 느끼는 고향과 향어(鄕語)에서 오는 정서적인 친밀감과 동류의식일 것이다. 사투리는 태중에서 어머니에게
고향신문 기자 : 2025년 03월 13일
[아침을 여는 초대시] 쉼
빠르게 스밀다 가끔 뒤돌아보는 공터
고향신문 기자 : 2025년 03월 07일
   [1]  [2] [3] [4] [5] [6] [7] [8] [9] [10]       
출향소식 +
오피니언
2025년 3월, 영덕을 덮친 대형 
푸르른 오월이 시작되었다. 이 땅의 
새소리 / 이끌림에 오르던 산기슭에 
경상북도 5개 시군이 최근 발생한  
사람들은 세상이 각박하다고들 혀를  
고향 그리워 귀촌했더니 그리든  
제호 : 주간고향신문 | 주소: 경상북도 영덕군 영덕읍 중앙길 75 2층 | 대표전화 : 054-734-0707 | 팩스 : 054-734-1811
등록번호 : 경북, 아00622 | 등록일 : 2020년 11월 26일 | 발행,편집인,대표이사 : 이상호 | 이 사 : 김상구 | 이 사 : 조원영
청소년보호책임자 : 조원영 | 고향신문 모든 콘텐츠(기사, 사진, 영상)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고향신문 All Rights Reserved. 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합니.
대표이메일 mail : g-news@hanmail.net